궁금한 우리 아이의 발달 단계 - 영유아 검진에서 사용되는 K-DST 평가 영역
페이지 정보

본문
K-DST는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의 후원하에 우리나라 영유아 관련 전문가들이 모여 한국 영유아의 특성에 맞게 개발한 검사도구입니다 ☆
검사 도구를 통해서 우리 아이가 또래와 비슷한 모습으로 성장하고 있는지 알아볼 수 있습니다
우리 아이가 어떻게 놀고 말하고 행동 하는가는 아이의 발달 단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합니다
평가 영역은 총 6개의 핵심 발달 영역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
1. 대근육 운동 영역
팔과 다리, 몸통을 움직이는 행동 영역
2. 소근육 운동 영역
손과 손가락을 사용하는 미세한 운동 영역
3. 인지 영역
지각, 사고, 비교, 분류, 기억, 모방 등 통합적 문제해결과 관련된 행동 영역
4. 언어 영역
옹알이, 말하기, 듣기 연령에 따른 언어 발달 영역
5. 사회성 영역
타인과 상호작용 하는 행동 영역 (눈맞춤, 모방, 감정 파악, 규칙 지키기 등)
6. 자조 영역 (* 4차 검진부터 실시)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하는데 필요한 기술 영역
각 영역별 총점을 기준으로 ‘빠른 수준’, ‘또래 수준’, ‘추적검사 요망’, ‘심화평가 권고’로 결과를 알려드립니다.
☆ '추적검사 요망' 또는 ‘심화평가 권고’의 경우, 전문가에게 정확한 진단평가를 받으실 것을 권유합니다 ☆
'심화평가 권고'에 해당하는 영역에 관한 검사비는 보건소에서 지원합니다. (지원 금액은 가정별로 차이 있음)
검사 도구를 통해서 우리 아이가 또래와 비슷한 모습으로 성장하고 있는지 알아볼 수 있습니다
우리 아이가 어떻게 놀고 말하고 행동 하는가는 아이의 발달 단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합니다
평가 영역은 총 6개의 핵심 발달 영역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
1. 대근육 운동 영역
팔과 다리, 몸통을 움직이는 행동 영역
2. 소근육 운동 영역
손과 손가락을 사용하는 미세한 운동 영역
3. 인지 영역
지각, 사고, 비교, 분류, 기억, 모방 등 통합적 문제해결과 관련된 행동 영역
4. 언어 영역
옹알이, 말하기, 듣기 연령에 따른 언어 발달 영역
5. 사회성 영역
타인과 상호작용 하는 행동 영역 (눈맞춤, 모방, 감정 파악, 규칙 지키기 등)
6. 자조 영역 (* 4차 검진부터 실시)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하는데 필요한 기술 영역
각 영역별 총점을 기준으로 ‘빠른 수준’, ‘또래 수준’, ‘추적검사 요망’, ‘심화평가 권고’로 결과를 알려드립니다.
☆ '추적검사 요망' 또는 ‘심화평가 권고’의 경우, 전문가에게 정확한 진단평가를 받으실 것을 권유합니다 ☆
'심화평가 권고'에 해당하는 영역에 관한 검사비는 보건소에서 지원합니다. (지원 금액은 가정별로 차이 있음)
- 이전글영유아 검진의 사회성 평가 영역의 중요성 25.03.21
- 다음글김해 특수교육대상자 치료비 지원 안내 25.02.2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